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커뮤니티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뉴스레터

(Top-story 1편) 2025년 과기정통부 과학영재교육 추진방향
(Top-story 1편) 2025년 과기정통부 과학영재교육 추진방향
작성자 과학영재교육연구원-관리자 작성일 2025-03-27 11:13:31
아이피 ***.***.***.81 조회수 64
카테고리 Top-story
2025년 과기정통부 과학영재교육 추진방향

류춘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선임연구원


 지식기반 사회에서 국가 간 경쟁력은 과학기술 인재 확보로 좌우되며, 우수한 영재를 체계적으로 발굴·육성하는 것은 국가 성장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과학영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 차원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과학영재 발굴·육성 정책이 필요하다.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영재교육의 체계 개선 및 교육 프로그램 내실화, 글로벌 협력 확대, 과학영재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마련을 추진하며, 과학고·영재학교 및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의 특성화를 지원하였다. 2025년에는 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과학영재 발굴·육성 시스템 개선·혁신’, ‘과학영재 발굴·육성 정책 영역 확장’, ‘과학영재 발굴·육성 고도화’를 전략 목표로 설정하고,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 양성을 위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① 과학영재 발굴·육성 시스템 개선·혁신

 과학영재교육의 체계를 강화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여 과학영재들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첫 번째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내실화를 강화하여 초·중등 단계의 영재 학생들이 더욱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교육원의 특성화 모델을 개발하고, 과학영재 연구 성과 공유를 확대할 예정이다.
 두 번째로, 과학고·영재학교 내 디지털 리터러시 및 SW·AI 융합 교육을 확대하여, 미래 기술 사회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역량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세 번째로, 국제과학올림피아드 교육 체계를 고도화하고, 통신교육-계절학교-집중교육의 단계별 교육 과정을 내실화하여, 참가 학생들의 연구 역량을 향상하고, 선배대표단과의 멘토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② 과학영재 발굴·육성 정책 영역 확장

 과학영재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정책을 확장하고,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며 국제적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첫 번째로, 소외지역 및 잠재 영재 발굴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찾아가는 STEM+I’ 프로그램과 공동·온라인 선 교육과정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보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영재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두 번째로, 과학고·영재학교 학생들의 글로벌 과학경연 및 탐구대회 참가 지원을 강화하여, 국제적 활동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국제 과학기술 경진대회(ISEF) 및 한미학술대회(UKC) 등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세 번째로, 국제과학올림피아드의 국내 개최 준비를 본격화하여, ‘26년 아시아물리올림피아드 및 ‘28년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유치를 위한 국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과학영재 교육의 중심 국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③ 과학영재 발굴·육성 고도화

 과학영재 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연구 및 학습 환경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첫 번째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평가 및 지원 체계를 고도화하여,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과학영재 양성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3년 주기 평가를 하고, 우수 교육원을 발굴하여 성과를 확산할 예정이다.
 두 번째로, 공동/온라인 AP 및 Pre-URP 지원센터 운영을 확대·고도화하여, 과학영재들이 심화 학습 및 연구 활동을 더욱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KAIST, GIST, DGIST, UNIST 등 4대 과학기술원과 협력하여 연구 프로그램을 강화할 예정이다.
 세 번째로, 국제과학올림피아드 대표단의 진로 지원을 강화하여, 참가 학생들이 이공계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 및 진로를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④ 과학영재교육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반 구축

 과학영재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교원 역량 강화, 사회공헌 활동 확대, 정책 성과 공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첫 번째로,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학고·영재학교와 영재교육원의 교원들이 최신 교육 트렌드를 반영한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두 번째로, 과학영재들의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하여, 교육 소외지역 및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과학 멘토링 및 교육 나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세 번째로, 과학영재교육 정책과 교육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과학영재교육 콘퍼런스’ 및 ‘과학영재교육 페스티벌’을 운영하여, 정책 담당자, 교원, 연구자, 학생 등이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5년 과기정통부의 과학영재교육 추진 방향은 ‘과학영재 발굴·육성 시스템 개선·혁신’, ‘과학영재 발굴·육성 정책 영역 확장’, ‘과학영재 발굴·육성 고도화’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적 노력이 강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교육기관, 연구기관, 과학기술계가 협력하여 과학영재들이 국가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총 : 99건 PAGE : 1/7
커뮤니티>홍보관>뉴스레터 게시글 목록 - 번호,파일,제목,조회수,작성자,작성일
번호 파일 제목 조회수 작성자 작성일
99 [발간물] KAIST GIFTED TIMES #25-1 (2025년 3월) 50 과학영... 2025.03.31
98 [Meeting-people] 소외계층 영재교육에 대한 열정으로 그들의 꿈에 빛을 밝히는 "류지영" KAIST 영재정책센터장을 만나다 106 과학영... 2025.03.27
97 [Story]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이 발달하는가? 67 과학영... 2025.03.27
96 [Issue] 인공지능의 재앙적 위험 80 과학영... 2025.03.27
95 [Top-story] (Top-story 2편) 국가과학영재정보서비스(NSGI): 과학영재 정책 수립을 위한 데이터 허브 52 과학영... 2025.03.27
[Top-story] (Top-story 1편) 2025년 과기정통부 과학영재교육 추진방향 64 과학영... 2025.03.27
93 [Story] KAIST GIFTED TIMES #24-4 (2024년 12월) 688 과학영... 2025.01.02
92 [Story] 과학고등학교 사회통합전형 학생의 학업 성취목표지향성, 과학 자아개념, 수업참여 간 관계 분석 472 과학영... 2025.01.02
91 [Meeting-people] 과학기술로 한계를 넘다: KAIST EXO-Lab "김승환, 윤지민" 연구원을 만나다 386 과학영... 2024.12.28
90 [Issue] KAIST 사이버영재교육, 주니어 카이스트로 다시 태어나다 1495 과학영... 2024.12.27
89 [Issue] 영재교육의 새로운 지평: 초등학교 3학년까지 확대하는 "영재키움 프로젝트" 306 과학영... 2024.12.27
88 [Story] 과학기술특성화대 학생들은 어떻게 진로를 결정하는가? 189 과학영... 2024.12.27
87 [Top-story] 미국의 영재교육 현장을 가다. [동부에서 서부까지, 영재교육 탐방기] 357 과학영... 2024.12.27
86 [발간물] KAIST GIFTED TIMES #24-3 (2024년 9월) 975 과학영... 2024.09.28
85 [Meeting-people] 'AGI 시대와 인간의 미래'의 저자 "맹성현" 명예교수님(KAIST 전산학부)을 만나다 1357 과학영... 2024.09.27
84 [Issue] 과학영재교육 재도약을 위한 과학고 및 영재학교의 발전 전략을 논의하다 473 과학영... 2024.09.27

글쓰기 새로고침

게시글 검색 /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