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이 발달하는가? | |||||
작성자 | 과학영재교육연구원-관리자 | 작성일 | 2025-03-27 14:12:06 | ||
---|---|---|---|---|---|
아이피 | ***.***.***.81 | 조회수 | 65 | ||
카테고리 | Story | ||||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이 발달하는가?
온라인 강좌에서 자기조절학습의 역동성 탐색: 자기조절학습의 발달 궤적과 다양한 성취 수준에서의 기본 심리 욕구 충족의 역할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12주간의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조절학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고, 기본 심리 욕구 충족이 이러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SRL)은 학습자가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과정을 계획하며,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자기조절학습이 높은 학생들은 학습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조절하는 특성을 보인다. 특히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교사의 직접적인 개입이 제한적이므로, 학습자가 얼마나 자기조절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지가 학습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기본 심리 욕구(Basic Psychological Needs)를 고려하였으며, 이는 자율성(Autonomy), 유능감(Competence), 관계성(Relatedness)으로 구성된다. 자율성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에서 선택권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하며, 유능감은 자신이 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과 관련된다. 관계성은 학습자가 학습 공동체 내에서 사회적 유대감을 느끼고 타인과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온라인 학습이 점점 보편화되고, 자기조절학습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온라인 강좌에서 자기조절학습이 어떻게 발달하는지뿐만 아니라, 기본 심리 욕구의 충족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이러한 발달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및 중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1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들은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수학·과학 탐구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었다. 해당 프로그램은 실생활 기반의 문제 해결 학습을 중심으로 12주간 운영되었다.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시작 전, 4주 후, 8주 후, 12주 후 총 네 차례에 걸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점수를 측정하였고, 기본 심리 욕구 충족 수준은 프로그램 시작 전에 측정하였다. 학업 성취 수준은 학생들이 제출한 6개의 과제 점수를 평균하여 산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저성취, 중간 성취, 고성취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조절학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점수는 12주 동안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선형이 아니라 비선형적인 패턴을 보였다. 흥미로운 발견은 자기조절학습의 증가가 주로 학습 초기에 집중되었다는 점이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증가량의 약 3분의 1이 첫 번째와 두 번째 측정 시점 사이에서 발생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자기조절학습이 요구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기조절학습의 대부분의 향상이 학습 초기에 이루어지고 이후 점차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그 증가의 대부분이 학습 초기에 발생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의 변화에 학습자의 기본 심리 욕구 충족이 영향을 미치는가?
자율성과 유능감이 자기조절학습의 초기 수준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반면, 관계성은 초기 수준뿐만 아니라 변화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율성과 유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초기 자기조절학습 점수가 높았으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성장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높은 자율성과 유능감을 가진 학생들이 이미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갖추고 있어 추가적인 향상의 여지가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경향은 상한 효과(ceiling effect)로 설명될 수 있으며, 특정 변인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추가적인 성장이나 변화가 둔화하는 현상을 반영한다. 특히, 연구 참가자들이 과학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동기가 높은 학생들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관계성 충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는 관계성이 자율성 및 유능감과 비교했을 때 자기결정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간접적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기본 심리 욕구의 세 가지 요소가 모두 학습 동기와 행동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동일한 모델에서 비교할 때 관계성의 상대적 효과는 미미할 수 있음을 본 연구는 확인하였다. 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변화 패턴은 어떻게 다른가?
성취 수준별로 자기조절학습의 변화 패턴을 분석한 결과, 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발달 패턴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고성취 집단은 초기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높았으며, 대부분의 성장이 학습 초기에 집중된 후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성취 집단은 초기 성장률이 낮았으나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세 번째 측정 시점까지 전체 증가량의 90% 이상을 달성하였다. 반면, 중간 성취 집단은 지속적인 성장 패턴을 보이며, 학습 기간 내내 자기조절학습이 점진적으로 발달하였다. 성취 수준에 따라 기본 심리 욕구 충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다른가?
자율성과 유능감은 모든 성취 집단에서 초기 자기조절학습 수준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관계성은 고성취 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율성은 저성취 및 중간 성취 집단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변화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자율성이 낮았던 학생들이 더 큰 성장을 보였다. 반면, 고성취 집단에서는 관계성이 자기조절학습의 변화를 예측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상한 효과(ceiling effect)도 관찰되어, 초기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추가적인 성장의 폭이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성장 패턴과 기본 심리 욕구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기본 심리 욕구의 변화가 자기조절학습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학습 환경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기조절학습이 감소하는 경향이 보고된 바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학습 환경이 학생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학습 초기에 자기조절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학생들의 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변화 패턴과 기본 심리 욕구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맞춤형 학습 지원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고성취 학생들은 이미 높은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어 관계성을 강화하는 방향의 학습 지원이 필요할 수 있으며, 저성취 학생들은 초기 학습 단계에서 자율성과 유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동기 부여와 개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기본 심리 욕구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성취 수준별로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습 환경과 대상 그룹을 포함하여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실질적인 교육적 개입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Lee, S., Lee, Yk., Park, SY. et al. Exploring the dynamic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online courses: trajector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cross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https://doi.org/10.1007/s10639-025-13443-6 |
총 : 99건 PAGE : 1/7